preparing-expository-sermons ramesh

이 칼럼 시리즈는 저를 가르치신 교수님이 강해 설교 하려면 꼭 읽어보라고 추천해주신 책 <Preparing Expository Sermon>의 개요를 소개하기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이 책은 디모데 출판사에서 “삶을 변화시키는 7단계 강해 설교 준비”라는 이름으로 1998년에 번역 되었습니다.

 오늘은 저자가 제시한 7단계의 강해 설교 준비 과정 중 여섯 번째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1. Study the Text: 본문을 연구하라
2. Structure the Text: 본문 구조를 파악하라
3. Sentral Proposition of the Text: 본문 핵심을 파악하라
4. The Purpose Bridge: 본문/설교의 목적을 설정하라
5. The Central Proposition of the Text: 설교 핵심을 파악하라
6. Structure the Sermon: 설교 뼈대를 세우라
7. Preach the Sermon: 설교하라

1

기본적인 설교의 구조는 서론, 본론, 결론입니다. 이 세 부분을 발전시킬 때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통일성질서, 진전입니다. 통일성은 5단계에서 세운 설교의 핵심을 가지고 전체를 구성할 때 생기고, 질서와 진전은 각 부분의 관계를 명확하게 설명할 때 분명히 드러납니다. 저자 라메쉬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제시합니다.

설교의 구조

설교의 제목
설교 본문

I. 설교의 서론
   A. 서론내의 요지
II. 설교의 본론
   A. 첫 번째 대단원
       1. 첫 번째 중단원
           a. 첫 번째 소단원
           b. 두 번째 소단원
       2. 두 번째 중단원
  B. 두 번째 대단원
       1. 첫 번째 중단원
       2. 첫 번째 중단원    
  C. 세 번째 대단원
III. 결론

설교의 구조를 생각할 때는 성도들을 염두에 두고 흐름을 짜는 것이 유익하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본문을 중심으로 두면 본문 중심 명제를 전달하고 서론과 본론에 영향을 미치는데, 성도를 중심으로 두고 하면 설교의 목적, 중심 명제 전달, 전체 구조, 서론, 적용, 결론 부분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그래서 본문의 핵심 명제를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성도를 중심으로 설교의 흐름을 가져가는 것이 더 좋다는 것입니다. 하나씩 차례대로 살펴봅시다.

 설교 제목:

제목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흥미 있어야 하고 설교자가 전달할 내용을 정확하게 표현해야 합니다. 짧고 분명할수록 좋고 서론이나 결론으로 향할 때 제목에 대한 소개가 적절합니다. 저는 간단하게 본문에 나오는 표현을 살려 제목을 찾는 편인데, 흥미를 고려하여 구성하는 것도 좋은 생각인 것 같습니다.

 

 설교 본문 읽기:

설교 전에 본문을 읽는 것은 많은 도움이 됩니다. 주보에 미리 설교 본문을 알려줘서 먼저 온 성도가 본문을 먼저 읽어볼 수 있게 도와주는 것도 좋습니다. 설교 전에 다른 사람이 본문을 낭독하는 것도 좋고 교독하는 것도 좋은 효과를 가져옵니다. 본문의 책명과 장, 절은 두 번 이상 반복해서 알려주어 찾을 수 있는 시간을 주는 것이 유익하며 서론에서 서론 내 요지를 마치고 넘어갈 때 다시 한번 본문의 책명과 장, 절을 알려줄 필요가 있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I. 서론: 서론의 서두

설교 전에 일어난 찬양이나 특송에 대한 언급, 초대받았을 때는 감사의 인사, 교회 전체적인 광고 등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분위기 조성을 위해 “설교자가 교회 전체와 예배 전체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데에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기여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서론의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 신호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기도나 잠시 시간을 두는 것 등으로).

 

 서론: 서론의 본론

이 부분은 아주 중요합니다. 노래나 영화의 초반이 나머지 시간을 집중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저자는 이 부분에서 네가지 목적을 설정합니다.

1) 관심을 끌라 2) 필요를 제기하라 3) 주제를 제시하라 4) 목적을 선언하라  

왜 이 설교를 들어야 하는지 그 필요성을 느끼도록 도와주고, 오늘 전달할 설교의 주제를 소개하며, 오늘 설교를 통해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원하는지 목적지를 가리키는 것이 이 부분에서 해야 할 일입니다. “지난 주일에는 본문 어디를, 또는 어떤 주제로 말씀을 드렸습니다. 오늘은 본문 어디를, 또는 어떤 주제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라는 식으로 서론의 본론을 삼지말라고 저자는 제안합니다. 서론의 서두로는 가능하지만 본론에서는 오늘 다룰 내용만 말하라는 것입니다. 

 

 서론: 서론내의 요지

이 부분은 설교의 본론에 들어가기 앞서 제공할 수 있는 정보를 주는 단계입니다.

1) 본문이 어디인가를 상기
2) 특별한 시리즈에 대한 상기
3) 본문의 배경 설명: 본문적, 문학적, 설교 시리즈
4) 본론의 구조에 대한 예고

이 부분은 길고 복잡한 것이 아니라 간단명료해야 합니다. “지금 우리는 이런 내용의 설교를 하고 있습니다.” “오늘 볼 시편은 다윗이 범죄한 이후에 기록한 것입니다.” “시편 119편은 각 문단의 첫 글자가 히브리어 알파벳 순서를 따릅니다.” 혹은 “오늘 본문은 3가지 명령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등이 될 것입니다.

 

II. 설교의 본론

설교 본문의 구조를 생각할 때는 청자의 다양한 반응을 생각하며 해야 하는데 다음과 같이 다양한 청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관심없다”형 2) “모르겠다”형 3) “못믿겠다”형 4) 하나님 말씀을 갈망하고 열심을 내는 신자

전혀 관심 없는 사람을 위해서는 서론부터 필요를 분명하게 제기해야 하고, 성경을 잘 모르는 이들을 위해서는 내용을 잘 준비해야 합니다. 의심을 가지고 있는 청자를 위해서는 그것이 실제로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지 말해줄 수 있어야 합니다. 설교자는 본론을 구성하면서 이런 사람들의 마음을 어떻게 공략하고 무너뜨릴지 설득할지 고민하면서 진리의 말씀을 잘 구성해야 합니다.

 

설교 본론의 구조

최대한 본문의 구조와 같아야 합니다. 본문이 세 개의 대지를 가지면 설교도 세 개의 대지를 갖도록 만듭니다. 표현을 현대적 감각으로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라메쉬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설교 본론의 구조를 짜라고 말합니다.

1) 통일성: 설교 전체의 하나됨
2) 질서: 설교의 부분들이 설교 전체를 구성하는 질서 정연함
3) 비율: 각 부분들이 차지하는 적절한 비중
4) 진전: 각 부분들이 어떻게 설교의 진전을 이루어 나가는가?

설교자는 본론의 각 구성 요소들이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 것인지 분명한 요지를 제시하고, 그 요지가 본문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설명해야 합니다. 본문에서 어떻게 그 요지가 도출되었는지 증명해 보이고, 요지가 설명하고 있는 바를 자세히 풀어 설명해야 합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각각의 요지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제시해야 합니다.

보통 연역적인 설교에서는 요지마다 적용이 도출되고, 귀납적 설교에서는 마지막 요지를 마치고 혹은 결론에서 적용을 제시합니다.

연역적 설교
I. 서론: 설교의 중심 명제가 완전히 설명됨
II. 본론
    A. 요지 주장, 본문과 연결, 증명, 설명
         적용(a)
    B. 요지 주장, 본문과 연결, 증명, 설명
         적용(a)
 III. 결론

 

귀납적 설교
I. 서론: 설교의 중심 명제가 부분적으로 소개됨
II. 본론
    A. 요지 주장, 본문과 연결, 증명, 설명
    B. 요지 주장, 본문과 연결, 증명, 설명
         적용(a)
 III. 결론
혹은 여기서 적용(a)

본론을 이루는 대지가 전환될 때 확실하고 분명한 전환을 알리는 표현을 사용해야 합니다. 설교의 주제를 복습하도록 도와주고, 장애물 없이 진전하게 도와주며 부분들을 부드럽게 연결하게 하고 내용을 더욱 쉽게 기억하게 합니다. 이러한 장점을 잘 살리기 위해 전환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좋은 접속사를 사용하거나 직접적으로 요지를 정리하고 다음 요지를 소개하는 방식, 비유를 통해 제시하는 법(예: 신앙의 비행기 양 날개 중 왼쪽 날개가 믿음이었다면 반대쪽 날개인 순종을 살펴봅시다), 몸동작을 통한 전환 등이 유익합니다.

 

적용

연역적, 귀납적 설교에 따라 적용의 위치가 달라지지만, 설교자는 대지를 마치고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적용을 제시하여 듣는 성도가 들려진 말씀을 자기가 처한 경제적, 문화적, 환경적 상황 속에서 어떻게 실천할 것인지 도전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설교자는 성도가 설교를 마치고 적어도 이 세 가지를 기억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1) 설교자가 무엇에 관한 설교를 했는가? WHAT(무엇을?)
2) 그래서 무슨 변화가 내 삶 속에 있어야 하는가?(그래서?)
3) 이제 나는 설교를 통해 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이제 나는?)

적용의 영역은 개인, 가정, 직장이나 학교, 교회, 사회 등 다양하며 그리스도인이 성화 되는 과정에 필요한 적용들(영적 필요, 지적, 신학적, 철학적 필요, 정서적, 관계적 필요, 신체적 필요 등을 다룰 수 있고 설교를 통해 그 필요를 해소할 수 있어야 합니다).

라메쉬는 텍사스 주 산 안토니오 교회의 목사님이 제시한 적용 통로를 소개합니다.

이 진리가 다음의 영역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가?

1. 자세: 하나님에 대한, 다른 사람들에 대한, 주위의 환경에 대한 태도
2. 하나님에 대한 지식
3. 행동: 발전시켜야 할 습관들, 바꿔야 할 습관들, 확인해야 할 습관들
4. 관계들: 용서하고, 용서받고, 격려하고, 징계하고, 복종하고, 이끌어가야 할 관계들
5. 동기들: 잘못된 이유로 열심을 내고 있지는 않은가?
6. 가치관과 우선순위: 무엇이 또는 누가 우선되어야 하는가? 무엇을 또는 누가 해야 하는가?
7. 인격

적절한 곳, 적절한 시간, 올바른 목적으로 예화를 드는 것은 설교의 매끄러운 구조를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성도의 이해를 돕고, 산만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무관심한 사람의 관심을 끌고 단조로운 설교를 풍성하게 해줍니다. 좋은 예화를 제공하는 책이 있지만 가장 좋은 예화는 자신과 다른 사람, 사회의 생활을 관찰하면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예화를 들 때는 먼저 요지를 설명하고 그에 대한 예화를 들고 그 예화와 성도들을 연관시킨 후 다시 요지를 복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별히 성도들의 관심을 끌 필요가 있을 때(서론이나 결론), 설교 중간에 소지를 확실히 설명하기 위해서 예화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화는 반드시 연관성이 뛰어나야 하고, 믿을 수 있는 예화를 들어야 합니다. 또한 설교 목적에 부합하는 예화를 들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III. 결론

여기서는 설교의 핵심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제기된 문제나 필요에 대한 답을 제공하며 마지막으로 순종의 결단을 하도록 도전합니다. 지양해야 할 결론은 1) 갑자기 중단, 2) 잘못된 신호(거듭된 “마지막으로…”), 3) 전혀 새로운 이야기를 꺼내는 결론, 4) 본론보다 긴 결론, 5) 이미 결론이 나온 후 계속되는 결론, 6) 맥빠진 분위기 등이 있습니다. 반대로 지향해야 할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지들에 대한 요약과 함께 중심 명제를 분명하게 선포하는 것
2) 개인적으로 순종할 수 있는 전략을 포함한 적용을 제시하는 것
3) 본문의 진리를 간단한 하나의 문장으로 제시하거나,
기억하기 쉽게 현대 감각에 맞도록 표현된 중심 명제를 밝혀주는 것

4) 중심 명제를 보충적으로 설명해주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
(연관성, 신빙성, 주장의 기준에 부합되는 예화)

* 더 자세한 내용은 디모데 출판사에서 나온 “삶을 변화시키는 7단계 강해 설교 준비”를 참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