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1120 of 74 항목

서로 문안하라(롬 16:1-16)

by

제목 : 서로 문안하라 본문 : 로마서 16장 1-16절 설교자 : 이병권 로마서의 마지막인 16장을 살펴볼 차례가 되었습니다. 로마서도 다른 바울 서신과 비슷하게 마무리가 됩니다. 서신의 마지막에서 볼 수 있는 명령이 나오는데, 문안하라는 명령입니다. 다른 서신과 비슷하지만 구별되는 로마서만의 특별함이 있습니다. 문안하라는 명령이 좀 많이 나옵니다. 본문을 보면 계속해서 문안하라는 명령이 반복되면서 사람들의 이름이 많이 […]

인생이라는 여행에서(롬 15:22-33)

by

제목 : 인생이라는 여행에서 본문 : 로마서 15장 22-33절 설교자 : 이병권 여러분은 여행을 좋아하십니까? 이런 여행은 어떤지 한 번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이 여행은 총 세 곳을 방문하는데 최종 목적지까지 두 곳의 경유지를 지나게 됩니다. 첫 번째 경유지로 가는 여행길은 1300킬로미터 정도인데, 이해를 돕기 위해 비교하면 대략적으로 한반도, 남한과 북한의 두 끝까지의 거리보다 더 먼 […]

구원하는 표, 침례(롬 6:1-4)

by

제목: 구원하는 표, 침례 본문: 로마서 6장 1-4절 설교자: 조정의 사도 베드로는 세례를 가리켜 “구원하는 표”라고 말했다(벧전 3:21). 물이 사람을 구원하는 것은 아니다. 물은 사람을 구원하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신 일 곧 불의한 자를 대신하여 돌아가신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벧전 3:18) 그들을 의롭다 하시기 위하여 살아나신 부활을(롬 4:25) 가리키는 ‘표징’이다. 신자가 그리스도와 연합하여 얻은 구원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은혜(롬 15:14-21)

by

제목 :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은혜 본문 : 로마서 15장 14-21절 설교자 : 이병권 오랜만에 로마서를 살펴봅니다. 지난 시간까지 해서 로마서의 본론이 끝났습니다. 오늘 본문부터는 로마서의 결론이 시작되기에 로마서의 전체 맥락에서 오늘 본문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바울은 로마서의 긴 본론을 마치고 결론을 말하고 있습니다. 바울은 “대략 너희에게 썼노니”(15)라고 말하는데 우리에게는 로마서의 본론이 길었지만 바울에게는 그리 […]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롬 15: 7-13)

by

제목 :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본문 : 로마서 15장 7-13절 설교자 : 이병권 오늘 설교의 제목은 유명한 연설에서 가져온 제목입니다. 이 연설을 했던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는 노벨평화상의 수상자이기도 합니다. 그가 연설에서 말했던 꿈은 이러합니다. 나라의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태어났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그렇게 살아갈 수 있는 날이 오리라는 꿈입니다. 흑인 소년소녀들이 백인 소년소녀들과 손을 […]

내 꿈은 예능인 (롬 15:1-6)

by

제목 : 네 꿈은 예능인 본문 : 로마서 15장 1-6절 설교자 : 이병권 말씀의 제목을 더 길게 말하면 ‘내 꿈은 예능인, 기쁨을 주는 사람’ 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에게 기쁨을 주는 사람이 되는 것, 우리가 추구해야 하는 삶의 목표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나는 지금 무엇을 위해 살고 있고 어떤 목표를 가지고 있는지 스스로에게 질문해볼 때 […]

어떤 결정을 내릴 것인가? (롬 14:13-23)

by

제목 : 어떤 결정을 내릴 것인가? 본문 : 로마서 14장 13-23절 설교자 : 이병권 우리는 살면서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지 고민할 때가 있습니다. 사소한 결정으로 고민할 때가 많지만 때로는 인생의 큰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결정으로 고민할 때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정말 신중하게 무엇이 더 좋은 결정인지 생각하게 됩니다. 믿는 사람이든지 믿지 않는 사람이든지 관계없이 모든 […]

받은 대로 받아 주라 (롬 14:1-12)

제목 : 받은 대로 받아 주라 본문 : 로마서 14장 1-12절 설교자 : 이병권 사람에 따라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는 음식들이 더러 있습니다. 닭발이나 곱창, 번데기, 홍어나 생굴 같은 음식들이 그런 평가를 받습니다. 이런 음식 중에서도 가장 논란이 많은 음식은 아마도 보신탕일 것입니다. 사회적 분위기와 여론은 점점 더 안 좋아지고 있는 음식입니다. 외국인이 가장 이해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