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110 of 57 항목

자책하는 마음 말씀으로 지키기(마 27:3-10; 요 21:15-17 외)

by

제목: 자책하는 마음 말씀으로 지키기 본문: 마태복음 27:3-10; 요한복음 21:15-17 외 설교자: 조정의 살면서 후회해 본 적이 없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 가벼운 후회는 종종 무거운 자책으로 이어진다. “후회”는 단순히 “이전의 잘못을 깨치고 뉘우”치는 것인 반면, 자책은 “자신의 결함이나 잘못에 대하여 스스로 깊이 뉘우치고 자신을 책망”하는 것을 말한다. 큰 차이가 없어 보일 수 있으나, 자책은 자신의 […]

교회는 그리스도의 기도다(요 17:20-26 외)

by

제목: 교회는 그리스도의 기도다 본문: 요한복음 17: 20-26 외 설교자: 최종혁 이 땅에 계실 때, 예수님은 습관을 따라 기도하셨다. 공적인 사역을 시작하신 후로는 사람들이 항상 예수님의 주변에 많이 있었기 때문에 예수님은 방해 받지 않는 한적한 시간과 장소를 찾아 기도하시는 모습을 복음서에 종종 볼 수 있다. 오병이어 사건 후에도 예수님은 제자들을 먼저 보내시고 산에 올라가서 혼자 […]

예수님 몸에 난 영원한 상처(요 20:26-29)

by

제목: 예수님 몸에 난 영원한 상처 본문: 요한복음 20장 26-29절 설교자: 조정의 상처받지 않고 사는 사람은 없다. 스스로 또는 타인에 의하여 몸을 다치기도 하고 또 마음이 상하기도 한다. 흔적만 남는 상처가 있는가 하면, 고통이 따르는 상처도 있다. 때로 그 고통은 육신의 고통이 아니라 마음의 고통인 경우도 있다. 몸은 통증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데 상처 준 사람을 […]

구원자를 거절한 사람(들) (요 5:1-16)

by

제목: 구원자를 거절한 사람(들) 본문: 요한복음 5장 1-16 설교자: 최종혁   예수님께서 이 땅에 계셨을 때 예수님 주변에 사람들은 많았지만 그들이 모두 예수님을 따랐던 것은 아니었다. 그 좋은 예를 보여주었던 것이 오병이어 사건 이후의 이야기다(요 6장). 예수님께서 오병이어의 이적을 행하셨을 때 사람들은 예수님을 왕으로 삼으려고 했었다(요 6:15). 그들이 원했던 메시아의 모습이 정확히 그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

요한에게 배우는 행복과 성공의 관계 (요 3:22-30)

by

제목: 요한에게 배우는 행복과 성공의 관계 본문: 요한복음 3장 22-30절 설교자: 최종혁   행복과 성공은 어떤 면에서 보면 사람들이 쫓고 있는 두 마리 토끼와 같다고 할 수 있다. 둘 다를 원하지만 둘 다 얻기는 쉽지 않다. 나는 행복은 아무 상관 없고 오로지 성공만을 원한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궁극적으로는 자신이 바라는 행복을 얻기 위해 […]

목마른 사람(들) 4(요 4:1-42)

by

제목: 목마른 사람(들) 4 본문: 요한복음 4장 1-42절 설교자: 최종혁 물이 필요해서 우물을 찾아왔던 사마리아 여인은 그곳에서 참되고 유일한 구원자이신 예수님을 만났다. 처음 그녀는 자신에게 필요한 것은 오직 ‘물’이라는 생각 뿐이었지만, 예수님을 통해 자신에게 정말 필요한 것은 잠시 육신의 갈증을 없애주는 물이 아니라 영원히 영혼의 갈증을 없애주는 생수, 하나님의 선물, 그리고 그 선물을 주실 수 […]

목마른 사람(들) 3(요 4:1-42)

by

제목: 목마른 사람(들) 3 본문: 요한복음 4장 1-42절 설교자: 최종혁 첫 시간에 언급했던 것처럼 이 본문은 궁극적으로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 메시야이심을 드러내서 읽는 자들이 예수님을 믿고 영생을 얻게 하려는 목적으로 기록되었다. 그러기 위해서 요한은 사마리아의 수가라는 동네에서 있었던 일을 소개했다. 동네의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께 나와서 믿고 영생을 얻었기에 ‘수가 부흥’이라고 지칭할만한 사건이었다. 특히 그들은 예수님을 […]

목마른 사람(들) 2(요 4:1-42)

by

제목: 목마른 사람(들) 2 본문: 요한복음 3장 1-21절 설교자: 최종혁 지난 시간에 우리는 예수님께서 사마리아의 한 여인을 찾아가 만나셔서 나누신 대화의 앞부분을 살펴봤다. 사마리아인이면서 여자였고, 또한 부도덕한 삶을 살고 있었던 이 여인은 종교적 관점에서 보면 절대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없었다. 이런 면에서 3장의 니고데모와는 모든 면에서 대조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하나님의 구원하심은 그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