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하기를 쉬는 죄를 결단코 범하지 아니하리라 4: 기도는 함께다(마 6:5-15)

by

제목 : 기도하기를 쉬는 죄를 결단코 범하지 아니하리라 4: 기도는 함께다 본문 :  마태복음 6장 5~15절 설교자 : 조정의 기도의 네 가지 본질을 배웠다. 우리의 모든 기도를 예수님 가르쳐주신 기도의 틀로 빚어야 한다. 첫째, 기도는 관계다. 관계가 없는 기도는 허공에 외치는 주문이다(이방인). 사람 앞에서 하는 자랑일 뿐이다(유대인).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는 하나님과 특별한 관계를 맺었다. […]

나는 부모다 2: 누가 해야 하는가?(엡 6:4)

by

제목 : 나는 부모다 2: 누가 해야 하는가? 본문 : 에베소서 6장 4절 설교자 : 이병권 오늘 “나는 부모다” 두 번째 시간에는 “누가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으로 자녀 양육을 생각해보겠습니다. “누가 해야 하는가?” 바로 답할 수 있는 아주 쉬운 질문입니다. 이 쉬운 질문을 조금 다양한 측면에서 생각해보겠습니다. 갓난아기가 계속 울고 있습니다. 누가 해결합니까? 부모가 합니다. 아이가 […]

기도하기를 쉬는 죄를 결단코 범하지 아니하리라 3: 기도는 신뢰다(마 6:5-15)

by

제목 : 기도하기를 쉬는 죄를 결단코 범하지 아니하리라 3: 기도는 신뢰다 본문 :  마태복음 6장 5~15절 설교자 : 조정의 11-13절은 우리가 주로 기도하는 내용이다. 하나님께 무언가를 요청하는 기도, 우리의 필요에 집중된 기도다. 혹자는 앞서 다룬 기도의 관계적 측면, 예배적 측면을 간과하고 본격적인 기도는 지금부터라고 착각할 수 있지만, 예수님이 가르쳐주신 기도의 후반부에서도 우리는 기도가 관계이고 예배라는 […]

기도하기를 쉬는 죄를 결단코 범하지 아니하리라 2: 기도는 예배다(마 6:5-15)

by

제목 : 기도하기를 쉬는 죄를 결단코 범하지 아니하리라 2: 기도는 예배다 본문 :  마태복음 6장 5~15절 설교자 : 조정의 기도는 관계다. 기도는 숙제가 아니라 만남이고, 주문이 아니라 친교다.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드리는 기도는 아무런 의미도 유익도 없다. 우리의 기도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아바 아버지”라 부를 수 있게 된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만 의미가 있다. 그리고 […]

기도하기를 쉬는 죄를 결단코 범하지 아니하리라 1: 기도는 관계다(마 6:5-15)

by

제목 : 기도하기를 쉬는 죄를 결단코 범하지 아니하리라 1: 기도는 관계다 본문 :  마태복음 6장 5~15절 설교자 : 조정의   시리즈 제목은 사무엘의 퇴임사에서 가져왔다(삼상 12:23). 우리는 기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쉬지 말고 기도하라”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라는 것도 안다(살전 5:17-18). 영생을 풍성히 누리는 비결이 기도라는 것도 배웠다(요일 5:14-21). 그런데 […]

선한 진실로 이웃을 돌보라 (출 20:16)

by

제목 : 선한 진실로 이웃을 돌보라 본문 :  출애굽기 20장 16절 설교자 : 최종혁   출 20:16 네 이웃에 대하여 거짓 증거하지 말라 십계명은 크게 하나님과의 수직적인 관계와 이웃과의 수평적 관계에 대한 명령으로 나눠볼 수 있다.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 율법의 큰 두 계명이고 십계명도 그렇게 구분된다. 하나님과의 관계에 대한 명령이 1-4계명이고 5-10계명은 이웃과의 […]

특혜, 이 정도였어?(롬 8:14-17)

by

가끔 정치인들의 자녀에 대한 소식이 뉴스에 나올 때가 있습니다. 자녀가 부모로 인해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되면 한동안 뜨거운 이슈가 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사람들은 분노합니다. 공정하지 못한 사회와 비리를 저지른 사람에 대한 비난이 이어집니다. 그만큼 사람들은 누군가 노력 없이 뭔가를 얻은 것에 대해서 자격 없는 자가 특혜를 받는 것에 대해서 그러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

충성된 청지기가 되라(출 20:15)

by

제목 : 충성된 청지기가 되라 본문 :  출애굽기 20장 15절 설교자 : 최종혁   도둑질은 사전을 찾아보지 않아도 어떤 의미인지 모두 알 것이다. 그래도 굳이 찾아보면 “남의 물건을 훔치거나 빼앗는 일”이라고 사전에는 정의되어 있다. 제 8계명에서 금하는 도둑질도 동일하다. 자기 소유가 아닌 것을 허가없이 취하는 것. 불법적으로 남의 소유물을 자기 것으로 삼는 것이 도둑질이다. 하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