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법주의 (Legalism)
현대 그리스도인들에게 가장 기피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이 율법주의일것이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 있어서 이 “율법주의”는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키는데 예를 들어 어떤 성도가 “집에 있는 TV를 없애야겠다”고 하면 그것을 듣는 성도가“너 그러다 율법주의에 빠질 수 있어..”라고 말해 주는 경우가 그러하다 정말 이 경우에도 “율법주의”라는 말이 합당한가? 또 다른 예로 만약에 어떤 성도가 “락 음악을 듣는 것은 하나님 앞에서 경건치 못한 것이다!”라고 락 음악을 좋아하는 한 청년에게 권고한다면 이는 “율법주의”인가? 성경 어떤 말씀에 락음악이 죄라고 적혀있는가? 만약에 없다면, 그 성도는 하나님 말씀이 아닌 자신의 기준을 말씀에 추가하고 그 기준을 하나님말씀처럼 지키라고 강요하고 있는것이 아닌가? 마치 바리새인처럼 말이다. 이처럼 현대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은 “율법주의”라는 말 자체를 굉장히 혐오하면서도, 정작 무엇이 “율법주의”인지 잘 모르는 경우가 있다. “율법주의”의 의미를 모르기 때문에 삶의 여러가지 분야에 있어서 이 “율법주의”라는 것을 어떻게 피하고 멀리할 것인지 잘 알지 못하게 된다 과연 율법주의는 무엇인가? 이 율법주의를 만들어낸 장본인,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을 통하여 한번 제대로 알아보자.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이 땅에서 사역을 하시면서 당시 죄인들이라 여겨졌던 세리나 창녀들에게는 그들의 친구가 되어주시며 그들에게 사랑과 자비를 베푸셨지만 오히려 종교지도자들로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말씀을 선포하였던 자들인 바리새인들과 서기관, 제사장들을 향하여 "뱀들아 독사의 새끼들아!" (마태복음 23:33) 라고 크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