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451460 of 584 항목

성경해석ONE-TO-ONE: (25) 내러티브(3) 복음서

by 조정의

우리는 세 차례에 걸쳐 내러티브 해석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처음에 우리는 내러티브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두 가지 원리를 배웠습니다. 1. 역사의 중심은 하나님이시다. 그분의 성품과 역사를 주목하라. 결국 성경이 증명하는 것은 하나님의 어떠하심과 그분이 하신 일입니다. 그것의 중요성을 두 번째 자리에 두는 것은 성경이 기록된 우선순위에 반합니다. 2. 역사는 구속사다. 점진적으로 계시된 구속사의 큰 물줄기 […]

순종과 불순종, 그리고 하나님의 공의 – 민수기

by 최종혁

    민수기에서는 ‘여호와’라는 단어가 거의 400번 가까이 사용되었습니다. 그중 대부분은 ‘말하다’ 혹은 ‘명하다’와 같은 동사와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민수기’는 ‘백성의 수를 센다’는 의미고 두 번에 걸쳐 백성의 수를 세는 기록이 있지만, 단지 숫자 세기가 내용의 전부는 아닙니다. 오히려 하나님께서 백성들에게 무엇을 말씀하셨는지에 대한 기록이며, 그 백성들이 하나님과 그분의 말씀에 어떻게 반응했는지 또한 하나님은 그런 백성들에게 […]

성경해석ONE-TO-ONE: (24) 내러티브(2)

by 조정의

지난 시간에 우리는 성경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장르인 내러티브에 대해 배웠습니다. 기본적으로 내러티브는 역사적인 기술입니다. 한 마디로 어떤 일이 있었는지를 기록한 내용입니다. 사실 이사야나 예레미야와 같은 선지서에서도 우리는 내러티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러마 구약의 모세오경과 여호수아부터 역대기, 에스라, 느헤미야, 에스더 그리고 신약의 사복음서와 사도행전이 이 내러티브라는 형식을 주로 취하고 있는 책들이라고 말씀 드렸습니다. 또한 […]

거룩, 하나님과의 관계 유지 – 레위기

by 최종혁

‘관계 유지’에 있어 먼저 명확히 할 것이 있습니다. 관계를 ‘유지한다’는 것은 이미 관계가 ‘형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백성이었습니다. 그들은 ‘민족적’으로 하나님의 백성이었기 때문에 ‘아브라함의 자손’으로 태어난 것만으로도 이미 하나님과의 관계가 형성되었다고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민족적으로 하나님의 백성인 것과 개인적으로 하나님의 백성이 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즉 ‘이스라엘 백성’이라는 말과 ‘구약의 성도’는 […]

성경해석ONE-TO-ONE: (23) 내러티브(1)

by 조정의

오늘부터는 성경의 각 장르에 따른 성경해석 방법에 대해 함께 공부해보겠습니다. 장르(Genre: 형식, 종류)라는 말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겠지만, 우리는 보통 글을 읽을 때 거의 자동적으로 이 장르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해석합니다. 과학잡지를 볼 때와 시집을 읽을 때 같은 해석원리를 따라 읽지 않습니다. 먼저, 우리는 장르에 따라 기대하는 바가 다릅니다. 과학잡지에서 “여우는 요망한 짐승이다”라고 말하는 것도 […]

(10) 건강한 교회 교인은 기도하는 용사다

by 조정의

어느덧 시리즈의 마지막 칼럼입니다. 사실 저자가 기록한 책 <건강한 교회 교인의 10가지 특징>은 마크 데버가 쓴 <건강한 교회의 9가지 특징>에 맞추어 쓴 것으로 건강한 교회의 필수적인 요소들을 갖추기 위해 성도 개개인이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한 책입니다. 10번째 특징은 마크 데버의 책에는 등장하지 않는 것이지만, 저자는 바로 이 열 번째 특징이 나머지 9가지 특징에 더 […]

성경해석ONE-TO-ONE: (22) 숲을 보지 못하는 성경해석

by 조정의

성경해석의 잘못된 예로는 우화적인 성경해석이나 영해가 대표적일 것입니다. 대표적인 영해의 예는 구약의 성막의 여러 가지 부분들을 그리스도와 억지로 연결하려는 해석입니다. 히브리서 말씀을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듯이 그리스도의 사역이 성막이 상징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들이 분명히 존재하지만 성막의 밧줄이 그리스도의 의로우심이며 성막의 휘장의 홍색천은 그리스도의 능력이라고 해석하는 것에는 “억지스러움” 혹은 “불확실함” 등의 영해의 폐해가 […]

(9) 건강한 교회 교인은 겸손히 따르는 자다

by 조정의

현대 쏟아져 나오는 수많은 교회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분석은 항상 교회의 조직과 리더십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목사의 리더십, 장로-집사 시스템의 문제점, 셀 그룹, 특별 집회 등 여러 가지 외부적인 것에서 교회의 성공 요인과 실패요인을 찾습니다. 그러나 저자는 이렇게 9장을 시작합니다. 교회의 건강은 전적으로 교회 지도력에 대한 성도의 반응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회중이 어떻게 […]

성경해석ONE-TO-ONE: (21) 예수님을 찾아라!

by 조정의

우리는 성경에서 예수님께서 모든 성경이 예수님을 증거하기 위해 기록되었다고 말씀하신 장면을 기억합니다. 너희가 성경에서 영생을 얻는 줄 생각하고 성경을 연구하거니와 이 성경이 곧 내게 대하여 증언하는 것이니라(요 5:39) 예수님은 엠마오로 가는 두 제자에게 구약성경에 기록된 메시아에 대한 예언을 설명해 주셨습니다. 이에 모세와 모든 선지자의 글로 시작하여 모든 성경에 쓴 바 자기에 관한 것을 자세히 설명하시니라(눅 […]

(8) 건강한 교회 교인은 성장하는 제자다

by 조정의

성장이라는 단어는 한국 교회가 사랑하는 단어입니다. “성장”이라는 단어가 보통 외형적 성장을 가리키기 때문에 (교인의 숫자, 교회 건물의 규모, 헌금이나 영향력의 크기 등) 교회 안팎의 많은 사람들에게 “성장”은 부정적으로 다가오기 쉽습니다. 저자는 이러한 외형적 “성장”으로 “성과라는 덫”과 “잘못된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 그리고 “영적 성장에서 자신의 힘과 노력에 의지하는 것”을 피하라고 말합니다. 헌금을 얼마나 했는가? 교회를 얼마나 […]